전체 글15 우리가 사는 지구, 지구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지구는 무엇일까?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세 번째 궤도를 도는 행성이다. 조금 두꺼운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발견된 지구형 행성 중에 가장 크고 현재까지 알려진 생명체가 탄생하고 서식하는 유일한 천체이고 인류가 살아가는 곳입니다. 지구는 45억 6600만 년 전에 형성되었고 용암 활동이 활발했던 지구와 행성 테이아의 격렬한 충돌로 생성되었을 달을 위성으로 두었다. 지구의 중력은 우주의 다른 물체 특히 태양과 지구의 유일한 자연 위성인 달과 상호작용합니다. 2. 지구의 역사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약 46억년 전에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졌고 46억년 전쯤에 원시지구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어느 정도 생성되었습니다. 46억년 전에 원시지구는 최소지름 10000km 정도에서 화성만 한 원시행성과 충돌했습니다.. 2023. 1. 13. 망원경에 대해 알아보자! 망원경이란? 망원경은 거울이나 렌즈 등의 광학기기를 사용하여 엑스선, 적외선, 가시광선, 전파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입니다. 망원경으로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라서 전파 망원경, 광학 망원경 등으로 분류되고 일반적인 망원경은 가시광선을 보는 광학 망원경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망원경은 주로 천문학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레저 및 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망원경의 역사 망원경은 쉽게 말해서 멀리 본다. 라는 뜻입니다. 그리스어에서 유래 되었고 1611년에 그리스 수학자인 Giovanni Demisiani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시연한 관측기기를 말하며 처음 사용한 기록이 있습니다. 최초의 망원경은 1608년 네덜란드에서 Hans Lippershey 등이 발명.. 2023. 1. 12. 블랙홀은 무엇인가, 블랙홀 알아보기 1. 블랙홀은 무엇인가 블랙홀은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 후 수축하여 생산된 것으로 추측되는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입니다.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합니다. 어떤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갈 경우 그 물체에는 파멸적 영향이 가해지겠지만 바깥 관찰자에게는 속도가 점점 느려져 그 경계에 영원히 닿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블랙홀은 빛을 반사하지 않기에 이상적 흑체처럼 행동합니다. 또한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에 따르면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의 질량에 반비례하는 온도를 가진 흑체 같은 스펙트럼의 열복사를 방출하며 이를 호킹 복사라고 합니다. 블랙홀로 특징지어지는 일반 상대론의 최초의 근대적 .. 2023. 1. 11. 아마추어 천문학이란? 아마추어 천문학은 참여자가 천체를 연구하고 관측하는 것을 즐기는 취미활동이다. 아마추어 천문가는 천문학을 직업으로 하거나 천문학 분야의 학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고 취미로 천문을 연구, 관측한다. 아마추어들은 대개 초보자들이고 일부는 높은 수준의 천문 지식이 있어 종종 전문적인 천문가를 서포트하기도 한다. 역사를 통해 사람들은 아마추어로서, 어떤 형식적인 방법이나 재정적 지원 없이 하늘을 공부하고 연구해 왔다. 아마추어 천문가는 보통 대부분의 천체가 보이는 밤하늘을 관측한다. 하지만, 때로는 대낮에 일식이나 흑점을 관측하기도 한다. 그들은 주로 맨눈으로 하늘을 관측하지만, 흔한 장비로 휴대용 망원경이나 쌍안경 휴대하기도 한다. 아마추어 천문학이 직업적인 천문학과 명확하게 구분된 것은 불과 수 세기 전 일이.. 2023. 1. 9. 오로라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오로라는 쉽게 말해서 밤하늘을 물들이는 이 거대하고 환상적인 자연현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람들이 오로라 여행으로 캐나다, 아이슬란드 등 이 환상적인 자연현상을 보려고 여행을 많이 간다고 한다. 오로라 하다 보니까 생각나는 것은 꽃보다 청춘 아이슬란드 편이 생각난다. 정상훈, 조정석, 김정국, 강하늘 이 4명의 남자가 아이슬란드로 떠나는 여행을 담은 예능이었다. 여기서 오로라를 구경하면서 감탄을 하는 4명의 남자가 인상적이었다. 이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서 오로라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많아졌다. 오로라는 무엇인가?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플라스마 입자가 지구 대기권 상층부의 자기장과 마찰하여 빛을 내는 광전 현상이다. 입자의 유래는 주로 태양에서 방출된 것이 대부분인데, 태양풍을 따라 지구 근처에 왔.. 2023. 1. 9. 별자리를 알아보자! 별자리는 천구의 밝은 별을 중심으로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별자리는 문화권별로 다르며 시대마다 달라지기도 하고 현재는 1930년 국제 천문 연맹에서 정한 88개의 별자리가 공통으로 쓰이고 있다. 공인된 별자리는 아니고 북두칠성이나 봄의 삼각형처럼 널리 쓰이는 것은 성군이라고 한다. 동양, 서양의 별자리를 알아봅시다. 첫 번째로 동양의 별자리를 알아봅시다. 동양의 별자리는 중국에서 밤하늘을 천상 세계의 관료 기간으로 보고 별들을 연결하는 선으로 구성된 형태를 별자리라고 불렀다. 서양의 별자리와 달리 1성, 2성과 같은 적은 수의 별로 구성된 것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예로부터 천문가에 따라 별자리의 명칭은 달랐으나 삼국시대의 진탁이 석 씨의 별자리는.. 2023. 1. 6. 이전 1 2 3 다음